주기 함수는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가 되는 주기 함수의 무한 합이다. 푸리에 급수의 Exponential form $$ f(t)=\sum_{n=-\infty }^{\infty}C_{n}e^{jn\omega_{0}t} \quad where \quad C_{n}=\frac{1}{T_0}\int_{t_0}^{t_0+T_0}f(t)e^{-jn\omega_0t}dt $$ 푸리에 급수의 Cosine / Sine form $$ f(t)=a_0+\sum_{n=1}^{\infty}(a_n\cos n\omega_0t+b_n\sin n\omega_0t) \quad where $$ $$ a_0=\frac{1}{T_0}\int_{t_0}^{t_0+T_0}f(t)dt, \quad a_n=\frac{2}{T_0}\int_{t_0}^..
지난 글에서는 No sooner than이나 seldom/little/scarcely등의 부정 어구가 문장 앞으로 나오면서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는 예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이번에는 부정 어구 이외에 다른 경우의 도치에 대해서 확인해 보자. [So ~ that] Eng.1) So popular is the actor that everyone recognizes him wherever he comes. Kor.1) 그 배우는 너무나도 유명한 나머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알아봤다. Eng.2) So beautiful was the girl that everyone kept staring at her. Kor.2) 그녀는 워낙 아름다워서 모든 사람들이 눈을 떼지 못했다. Eng.1의 원문은 The actor..
위의 BBC learning English 설명에서도 나와 있듯이, 도치(Inversion)는 문장 내의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등의 위치를 일반적인 순서로 쓰지 않고 서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는데, 보통 1. 어떤 의미를 강조하고 싶거나 2. 문장에 극적인 효과를 주고 싶다거나(시적인 표현) 3. 격식 있는 느낌을 주고 싶을 때 사용한다. 전반적으로 문장에 다소 멋을 내는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러니까 입말보다는 글말에서 많이 쓰일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물론 알고 나면 미드에서도 꽤나 들리기는 하더라... 문제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문장 구조가 아니다보니 처음 접했을 때 무슨 말인지 모르겠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해서 접해보고 익숙해질 수 있..
어떤 일이 벌어지자마자 다음 일이 일어났다는 영어 표현은 다양하게 있는데, 아마 그중에서 가장 흔하고 익숙한 것이 as soon as일 것이다. No sooner than도 같은 표현인데, 시제 사용하는 법, 도치 구문 등이 특이하기 때문에 as soon as보다 직관적으로 의미가 눈에 들어오지는 않으므로 꼭 유의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의미를 확인했으니 Keyword와 예제를 통해서 익숙해져보자. Keyword1 : 시제 - 과거완료 Eng.1) I had no sooner sat down than the phone rang. Kor.1) 자리에 앉자마자 전화가 울렸다. No sooner than 구문에서는 no sooner가 포함된 block이 과거완료 시제를 사용하고, than 이하 block이 ..
예제1) 아래의 미분방정식을 만족하는 해를 구해보자. 1. 미분방정식을 p(x)와 q(x)가 나오도록 정리 2. Integrating factor I 구하기 3. 미분방정식 양변에 I를 곱하고 정리 (I를 곱하면 좌변은 무조건 $(I(x)y)'$ 형태로 정리가 된다.) 5. 초기 조건을 이용하여 적분상수 결정 6. 미분방정식의 해 결정 Why do we deal with this subject now at all? 대학에서 배우는 과목의 교과서에는 1장이나 2장에서 앞으로 다룰 수학 기술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전자기학의 첫째장은 보통 벡터 미적분학에 대한 설명이 있고 자동제어의 경우에는 라플라스 변환, 푸리에 급수 등의 설명이 실린다. 하지만 회로이론은 딱히 그렇지 않은데, 회..